본문 바로가기

주식

보조지표 이용하기 - 볼린저밴드를 이용한 매매법 상승추세 하락추세

728x90
반응형

안녕하세요

투자 한 잔 지식 한 스푼입니다!!


오늘은 많이 사용하는 보조지표 중 하나인 "볼린저밴드"에 대해 소개해드릴까 합니다.

이전 포스팅에서 같이 공부한 캔들의 패턴과 이평선의 배열은 단순히 캔들과 이평선이 주는 정보 외에도 차트를 통해 투자자의 심리를 유추해내고 이를 통해 유리한 매매를 하기 위함이었는데요~

유리한 매매를 하기 위해서는 보조지표도 빠질 수 없겠죠!

 

 

 

 


 

볼린저밴드

 

 

현대차 일봉차트 - 볼린저밴드 예시 (2021-08-11)

 


"볼린저밴드"는 상한선, 중심선, 하한선으로 구분되며 밴드의 폭을 이용한 매매기법미국의 저술가이자 재무분석가인 존 볼린저가 주가는 일반적으로 이동평균선을 중심으로 일정한 범위(표준편차) 안에서 움직인다는 전재로 1983년 기술적 분석 도구로써 개발하게 되었습니다.

중심선(초록색)을 기준으로 상한선(주황색)과 하한선(파란색)으로 구분되며, 통상 주가의 95% 이상은 볼린저밴드의 상한선과 하한선 사이에서 움직입니다.

볼린저밴드의 기본 설정 값은 중심선이 20일 이동평균선이며, 상한선과 하한선은 20일 이동평균선의 각각 +2/-2 표준편차로 적용되어있으나 중심선을 단기적 관점으로는 12일 장기적 관점으로는 60일로 변경하여 사용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볼린저밴드는 주가가 횡보할 때는 좁은 폭으로 진행이 되다가 주가의 움직임이나 지수의 변동이 클 때 밴드의 폭이 넓어지면서 추세가 형성되는 특징이 있습니다.

이러한 볼린저밴드의 기본적인 메커니즘은 해당 기업의 주가가 상위 밴드(상한선) 에 도달하면 매도하고 하위 밴드(하한선)에 도달하면 매도시점으로 인식합니다.

앞서 설명한 것처럼 주가의 95% 이상 상한선과 하한선 사이에서 움직이기 때문에 횡보장에서는 확률적으로 수익을 극대화 한다는 원리입니다. 단, 추세가 형성이 되는 시점(밴드폭이 넓어지는 시점)에는 상한선의 매도를 잠시 보류하는 것이 좋습니다.

 

 

728x90

 

 


 

  상승추세  



엘앤에프 일봉차트 - 상승추세 예시 (2021-08-11)

 


위 볼린저밴드를 적용한 엘앤에프의 일봉 차트를 보게 되면 상한선과 하한선의 간격이 좁게 횡보하다가 추세가 형성되면서 상한선을 타고 주가가 올라갈 때를 "상승추세"라고 합니다.

상승추세에서는 중심선이 지지선 역할을 하므로 상승추세일 경우 상한선에서의 매도가 아닌 수익을 극대화하기 위해 지지선이 깨지지 않는다면 주식을 보유했다가 이후 추세가 꺾이고 지지선을 이탈하면 매도하는 방법이 좋습니다.

 


 

  하락추세  



컴투스 일봉차트 - 하락추세 예시 (2021-08-11)

 


위 볼린저밴드를 적용한 컴투스 일봉과 같이 주가가 하한선을 타고 내려가는 경우를 "하락추세"라고 하며, 이러한 경우 밴드의 중심선이 저항선 역할을 합니다.

단기적 트레이딩의 관점에서 당일에 하한선을 이탈 후 반등 캔들로 하락선 안으로 들어오면 매수 관점, 반대로 당일에 상한선 위로 올라간 뒤 내려오면 매도 관점으로 볼 수 도 있습니다.

 

 

반응형

 

 


 

 

오늘은 보조지표들 중에서 많이 사용하는 지표 중 한 개인 볼린저밴드에 대해 알아보았는데요.

볼린저밴드뿐만 아니라 다른 보조 지표들도 어디까지나 보조지표로써 주식 매매에 도움을 주기 위해 개발되었기 때문에 절대로 맹신해서는 안됩니다. 여러 가지 정보를 종합적으로 판단하고 매매한다면 현명한 투자자가 될 수 있겠죠?

자~모두 주식 고수가 되어 성공 투자하시길 바라며, 오늘 "볼린저밴드를 이용한 매매법"포스팅을 끝냅니다!


즐거운 하루 보내세요~!!



728x90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