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식

보조지표 이용하기 - 스토캐스틱을 이용한 매매법 다이버전스

728x90
반응형

안녕하세요

투자 한 잔 지식 한 스푼입니다!!


주식 매매를 하다 보면 주식을 사긴 했는데 이걸 도대체 언제 팔아야할지 고민될 때가 많은데요. 오늘 같이 알아볼 "스토캐스틱"은 주식을 사고팔 때 참고하면 유용한 보조차트입니다.

자~그럼 RSI지표와 함께 많이 사용하고 있는 보조지표"스토캐스틱"을 이용한 주식 매매법에 대한 소개를 시작하겠습니다!




스토캐스틱은 추격매매를 막을 수 있고 단기 과열권에서의 매매 타이밍에 참고할 때 쓰이는 보조지표입니다.



 

스토캐스틱 구성

 

SK바이오사이언스 일봉차트 - 스토캐스틱 슬로우/페스트 예시 (2021-08-13)



조지 래인이란 사람에 의해 탄생한 스토캐스틱은 처음에는 채권시장에서 사용되기 위해 만들어진 졌지만, 이후 주식시장에서도 효과를 발휘하면서 유명해져 현재까지 많이 사용되는 보조 지표입니다.

%K선과 %D선으로 구성되어 있는 스토캐스틱은 일정기간의 단기적 고가 및 단기적 저가 범위 내에 현재의 주가는 어느 곳에 위치하고 있는지 확인할 수 있으며, 기본 설정은 기간, %K선, %D선 각각 5, 3, 3으로 되어있지만, 잦은 파동을 피하고 추세를 보기 위해 12, 5, 5 로도 많이 변경하여 사용합니다.

또 위 스토캐스틱 예시와 같이 차트를 빨리 반영하는 페스트비교적 천천히 반영하는 슬로우가 있으며, 페스트는 반응을 빨리하는 만큼 %K선과 %D선의 잦은 크로스가 반복되고 거짓 신호가 많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일반적으로 슬로우를 많이 사용합니다.

728x90

 


 

스토캐스틱 매매 전략





스토캐스틱의 %K선과 %D선은 0% ~ 100% 사이에서 움직이게 되는데, 80% 이상은 과매수 구간, 20% 이하는 과매도 구간이며, %K선과 %D선의 교차 신호는 추세전환의 신호입니다.



위 내용을 매매에 이용한다면, %K선과 %D선이 교차하며, 80%를 이탈할 때는 추격매수를 자제하고 매도를 고려해볼 때이고 반대로 %K선과 %D선이 교차하면서 20%를 상향 돌파할 때에는 매도를 자제하고 매수를 고려해볼 때가 됩니다.

이때 일봉과 주봉의 스토캐스틱이 다르므로 교차 참고하여 둘 다 과매도, 과매수 구간일 때 신뢰도가 더욱 높습니다.



 

주의해야 할 신호

 



상승 혹은 하락 추세로 전환하기 전, %K선이 움직임 둔화되면서 기울기가 무뎌질 때는 추세반전 암시하며, 과매도 과매수 구간에서 더욱 신뢰도가 높습니다.

%K선과 %D선이 교차한 후 다시 교차하려 할 때 %D선에서 지지하여 계속 상승하거나 %D선에서 저항받게 되어 상승하지 못하고 하락을 이어나가는 것을 리테스트(추세 연장)이라 합니다.

진행하던 %K선이 과매도, 과매수 구간에서 기울기 급격하게 꺾이면서 방향이 바뀔 때는 추세전환의 경고 신호입니다.

과매도, 과매수 구간에서 %K선과 %D선이 교차를 반복하며 해당 구간에서 머무를 때를 페일러라고 하는데 기존 추세의 강화를 의미합니다. 과매수 과매도 구간에서의 페일러는 신고가 및 신저가가 많이 갱신이 됩니다.

반응형

 


 

다이버전스(분기 현상)

 



주가는 상승하고 있지만 스토캐스틱은 고점을 낮추는 모습으로 이때 하락으로 전환될 가능성 암시하는 것으로 주의해야 하며, 반대로 주가는 하락하고 있지만 스토캐스틱의 저점을 높여간다면 상승 전환의 신호 될 수 있습니다.

스토캐스틱은 박스권에서는 정확도가 높지만 뚜렷한 추세를 보일 땐 정확도가 떨어지므로 이를 보안하기 위해 RSI지표와 같이 다이버전스(분기 현상)를 같이 체크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오늘은 과열권에서의 매매에 많이 사용되고 있는 스토캐스틱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이러한 보조지표들은 주식 매매에 참고하면 참 유용하고 편리하지만, 어디까지나 보조지표는 보조지표일 뿐 맹신해서는 안되며, 여러 정보들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매매해야 현명한 투자가될 수 있겠죠?

자~ 모두 주식 고수가 되어 성공 투자하시길 바라며, 오늘 "RSI지표를 이용한 매매법"포스팅을 끝냅니다!

 

즐거운 하루 보내세요~!!



728x90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