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식

보조지표 이용하기 - DMI지표를 이용한 매매법

728x90
반응형

안녕하세요

투자 한 잔 지식 한 스푼입니다!!


오늘은 "DMI지표"에 대해 알아보려고 하는데요.

 

주식투자를 할 때 내가 가진 종목이 계속 상승하게 됐을 때, 물론 좋은 일이지만 그때부터 고민에 잠기게 됩니다. 지금이 꼭대기가 아닐까? 수익이 났을 때 팔아버릴까? 이런 생각들로 주가가 올라가도 맘 한편에 불안한 마음이 생기는데요.


"DMI지표"는 이렇게 주가가 추세를 형성하고 상승하거나 하락할 때 유용하게 쓰이는 지표입니다. 

 

 

 

 

DMI는 현재 종목의 향성과 추세의 강도를  나타낸 보조지표입니다.

 

 


 

DMI지표란?

 

 

삼성SDI 일봉 차트 - DMI지표 예시 ( 2021-08-24)

 

 

기술적 지표의 아버지로 여겨지는 미국의 웰레스 와일더가 저술한 "기술적 트레이딩 시스템의 신개념 (1978)"이란 책에서 처음 소개된 지표인 DMI지표는 단기보다는 중장기 추세분석에 유리한 지표지금 시장이 추세인지 아닌지 상승 추세이면 상승 강도가 어떤지 하락 추세면 하락 강도는 어떤지 알려주는 보조지표이며, 주가가 횡보할 때에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728x90

 

 


 

DMI지표 구성

 

 

 

 

 

DMI지표는 +DI, -DI, ADX 3개의 선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DI는 상승하려는 힘으로 주가의 상승과 강도를 나타내며, -DI는 하락하려는 힘으로 주가의 하락과 강도를 나타냅니다. ADX는 +-DI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서 이용되며, 진행 중인 추세의 상승과 하락에  관계없이 강도만을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DI가 -DI 위에 위치해 있으면 상승추세에 가까우며, 반대로 -DI가 +DI 위에 위치하면 하락 추세볼 수 있습니다. 

 

이때 ADX 지표가 상승하면 상승추세이든 하락 추세이든 분명한 추세를 가지고 있고 그 추세로의 진행 강도가 강하다는 것을 의미하며, ADX 지표가 하락할 때는 현재의 추세가 꺾이고 곧 새로운 추세로 전환될 가능성을 암시합니다.

 


 

DMI지표를 이용한 매매기법

 

 

 

 

+DI와 -DI가 교차할 때

 

+DI가 -DI를 돌파해서 올라갈 때는 매수 신호로 볼 수 있고 반대로 -DI가 +DI를 돌파해서 올라갈 때는 매도 신호로 생각할 수 있습니다.

 

후행성 지표의 한계로써 횡보 추세의 장세에는 거짓의 신호가 더러 발생하는데, 이를 예방하기 위해 한 박자 늦춰 매매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다음날, 매수 교차 신호가 나온 날의  고가를 돌파하지 못하면 "매수유보"다음날, 매도 교차 신호가 나온 날의 저가를 돌파하지 못하면 "매도 유보"

 

 

반응형

 

 

 

 

+-DI의 일시적 교차

 

+-DI가 일시적으로 교차한 뒤 다시 교차하여 올라가는 경우 주가가 잠시 조정을 보일 수 있지만, 기존 추세는 견고하다고 생각 할 수 있습니다.

+-DI의 이격 분석

두 선간의 이격이 줄어드는 구간을 매수 혹은 매도 신호로 이용할 수 있으며, +-DI의 교차 신호보다 조금 빠른 대응이 가능합니다.

 

 


 

 

 

 

오늘은 "DMI지표"에대해 같이 알아보았는데요~

 

보조지표는 한 가지만 사용하는 것 보다 상호 보완이 가능하고 자신에게 맞는 지표 2~3개를 같이 사용하는 것이 좋으며, 항상 후행성 지표임을 인지하고 종합적으로 정보를 취합하여 매매해야 현명한 투자자가 되겠죠?!  

 

자~ 모두 주식 고수가 되어 성공 투자하시길 바라며, 오늘 "DMI지표를 이용한 매매법"포스팅을 끝냅니다!

 

즐거운 하루 보내세요~!!

 

728x90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