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투자 한 잔 지식 한 스푼입니다!!
오늘은 "유상증자와 무상증자"에 대해 알아보려고 합니다.
주식을 하다 보면 투자한 기업에서 유상증자 혹은 무상증자 공시가 나올 때가 종종 있는데요. 유상증자와 무상증자는 무엇이 어떻게 다른 걸까요?
이번 포스팅에서는 "유상증자와 무상증자 차이점과 체크해야 할 부분 "을 총정리해보았습니다.
증자란?
증자란, 増(더할 증) 資(재물 자) 재물을 더한다 즉 자본을 늘린다라는 뜻으로 기업에서 자본을 늘리기 위해 주식을 더 발행하는 것을 말하며, 증자 이외의 표현으로는 추가 발행, 추가 상장이 있으며 모두 같은 뜻입니다.
그렇다면 기업은 왜 증자를 하는 것일까요?
기업이 증자를 하는 이유는 다양한데요. 사업을 확장, 기업의 부채 청산, 새로운 사업을 하게 될 때 필요한 자금을 모으기 위해서 등이 있으며, 증자 외에도 기업이 자금이 필요할 때 쓰는 방법은 IPO 기업공개(상장), 대출, 채권 발행 등 증자를 포함하여 크게 4가지가 있습니다.
하지만 대출과 채권은 빚을 지는 것이기 때문에 돈을 갚아야 할 부담이 있는 반면 증자는 갚을 필요가 없고 대출과 달리 부채와 이자 없이 자기 자본을 늘리는 것이기 때문에 기업 입장에서는 대출과 채권보다 매력적인 방법일 것입니다.
유상증자
유상증자는 발행되는 주식을 일정 금액을 받고 파는 것으로 유상증자를 하게 되면 주식의 수가 늘어나기 때문에 기본 주주의 지분율이 낮아지게 됩니다.
예를 들어 어떤 기업에 주식 총 100주에서 20주를 갖고 있던 A주주는 증자 이전 지분율이 20%였지만, 100주를 추가로 유상 증자한 후에는 지분율이 10%가 되기 때문에 기존 주주의 가치가 훼손되게 되어 일반적으로 악재로 여겨집니다.
또 유상증자를 하게 되면 회사에 돈이 부족한 것으로도 비칠 수 있기 때문에 대부분 나쁜 영향을 끼치게 됩니다.
이러한 유상증자는 여러 가지 방식이 있습니다.
주주배정방식
기존 주주들에게 일정 금액을 받아서 유상증자
제삼자배정방식
기업의 임원이나 직원 또는 투자업체, 특수관계인
이나 다른 투자자를 대상에게 유상증자
일반공모방식
특별한 제한 없이 모든 투자자들을
대상으로 유상증자
이 중에서 제삼자배정방식은 호재로도 작용할 수 있는데요. 대기업에서 중소기업에 지분투자를 할 때 많이 활용하는 방식으로 유상증자를 통한 주식을 사려는 대기업이 장기간 안정적인 파트너십을 유지하려는 목적이 크기 때문에 주가에 긍정적인 영향을 끼치는 편입니다.
기업의 유상증자 공시에서 체크해야 할 부분
먼저 증가하는 주식 수가 전체 주식수 대비 몇 %가 발행되는지 확인해야 하며 신주 발행가액 및 신주배정 기준일 새롭게 발행되는 주식의 가격, 신주를 배정받을 수 있는 기준이 되는 날짜, 자금조달 목적 및 유상증자의 이유를 체크해두어야 합니다.
특히 자금조달 목적을 유심히 살펴봐야 하는데요. 재무구조가 건전하게 바뀌거나 사업을 확대하는 데에 자금을 쓰는 경우 등 좋은 목적의 증자라면 당장은 시장에서 악재로 받아들이더라도 이후 호재로 작용할 수 있습니다.
무상증자
유상증자와 반대로 무상증자는 기존 주주들에게 발행된 주식을 대가 없이 나눠주는 것으로 주식 시장에서 무상증자는 대부분 호재로 작용합니다.
왜 주식을 대가 없이 나눠주는 걸까요? 무상증자는 해당 기업의 주식 거래량을 증가시키기 위한 이유가 있습니다. 유상증자와 같이 주가는 주식을 증자한 만큼 할인이 되지만, 무상으로 보유 주식수가 늘어나기 때문에 거래가 활성화되는 이점이 있어 일반적으로 호재로 받아들입니다.
그렇다면 주식을 발행하는 자금은 어디에서 나오는 것일까요?
기업을 운영하다 보면 여러 가지 남는 돈 즉 잉여금이 생기게 되는데, 무상증자는 잉여금을 이용하여 증자를 하는 것으로 무상증자를 통해 주식을 발행한 기업은 잉여금이 다시 자본금이 되어 주주에게 주식이 더 많이 돌아가게 되고 재무구조가 건전하다는 것이 증명되고 회사의 이미지가 올라갑니다 따라서 주식의 가치는 올라가고 주주들은 더 많은 이익을 얻을 수 있습니다.
유상증자와 달리 무상증자는 절차가 간단하기 때문에 공시에서 신주배정기준일 정도만 잘 알아두면 됩니다.
오늘은 "유상증자와 무상증자 차이점과 체크해야 할 부분"에 대해 같이 알아보았는데요.
무상증자 이후 주가의 상승 으로 인하여 차익 실현 세력의 출현으로 단기간 조정을 보이기도 하며, 유상증자라고 해서 무조건 악재로 받아지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증자방식 또는 발행 이유를 잘 살펴보면 좋은 기업을 저가에 매수할 수 있는 기회가 되기도 합니다.
자~ 모두 주식 고수가 되어 성공투자하시길 바라며, 오늘 "유상증자와 무상증자 차이점과 체크해야 할 부분"포스팅을 끝냅니다!
즐거운 하루 보내세요~!!
'주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재무제표 보는 법 - 기업가치지표 (EPS, PER, BPS, PBR, ROE) (0) | 2021.09.16 |
---|---|
유상감자와 무상감자가 주가에 미치는 영향 - 자본잠식과 대표적인 사례 (0) | 2021.09.10 |
해외 주식 거래 시 발생하는 세금(환전수수료, 증권거래세, 양도소득세, 배당소득세 ) (0) | 2021.09.05 |
국내 주식 거래 시 발생하는 세금과 앞으로 바뀌는 부분 (증권거래세, 배당소득세, 양도소득세, 금융투자소득세) (0) | 2021.09.02 |
보조지표 이용하기 - VR지표를 이용한 매매법 (With - OBV지표) (0) | 2021.08.31 |